이클립스로 열심히 연습하면서 자바 게시판을 만들어 돌리다보니 이제 DB의 중요성이 새삼 느껴진다.
article 클래스로 생성된 객체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은, 프로그램을 종료하면 날아가는 휘발성일 뿐이다.
따라서 이제는, 생성된 데이터를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바 게시판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사용 언어는 SQL이고, 이 SQL문으로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핸들링할 수 있다.
DBMS는 제조사별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으며 데이터 관계에 따라 여러 타입으로 나뉜다. 그 중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며 무료 배포된 MySQL을 활용하려 한다.
MySQ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QLYog(MySQL의 구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GUI 툴)가 필요한데, 그 전에 내 PC에 개발 환경 구축을 간편하게 해줄 XAMPP를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XAMPP를 먼저 설치한 후 SQLYog를 이어서 설치하면 된다.
XAMPP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운로드 링크 : https://www.apachefriends.org/index.html
실행 파일을 설치하다보면 Select Components에 여러 항목이 뜬다.
본인 필요에 따라 선택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MySQL만 선택 후 next를 눌러주면 된다.
설치 완료 후 XAMPP를 실행하면 작은 창이 뜬다.
MySQL 옆에 Start, Config, Logs 버튼이 있는데, 그 중 Config를 클릭하여 my.ini 파일을 실행한다.
my.ini는 해당 프로그램의 환경설정을 위한 파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my.ini가 메모장으로 실행이 되었다면, 알 수 없는 문장들이 적힌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약간의 설정을 바꾸어 준 후, 저장하면 된다.
단 한 글자라도 잘못 추가하거나 지워버린 채 저장한다면, 실행에 치명적인 에러가 생길 수도 있다고 하니 조심해야 한다.
(1) [mysqld] 아래 lower_case_table_names = 2 추가
(2) ##UTF 8 Settings 아래 #으로 주석 처리된 다섯 문장의 주석 해제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start를 눌러 MySQL을 실행한다.
연두색으로 표시되면서 port 번호가 뜨면 성공이다.
만약 start를 누른 상태로 ini 파일을 설정했다면, stop 후 재실행하면 설정 내용이 적용되어 실행된다.
XAMPP로 환경 구축이 끝났다면, 이제 MySQL을 다룰 프로그램인 SQLYog를 설치해야 한다.
SQLYog 설치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MySQL 사용자 계정 생성 (0) | 2021.10.13 |
---|---|
MySQL 사용을 위한 SQLYog 설치 및 실행 (0) | 2021.10.13 |